- 1 -
Ⅰ. 중국경제의 디플레이션 가능성
(거시팀 李萌 연구원)
Ⅱ. 중국의 태양광발전 산업 전망
(산업팀 孫曉菲 연구원)
Ⅲ. 불황을 기회로 전환시킨 동영상 공유 사이트 광고
(전략팀 邱靜 연구원)
Ⅳ. 主要 經濟統計
Qr1= ⛷3<04㔓
533<1 41 481
- 1 -
Ⅰ. 중국경제의 디플레이션 가능성
- 2008년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각각 22개월과
31개월 이래 최저치를 갱신
- 수출규모도 7년만에 최초로 하락했으며, 금융시장 유동성도 현저히 둔화
- 인플레이션 억제에 치중하던 중국 거시경제정책이 디플레이션 압력에 직면
-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경제가 디플레이션을 우려하게 된 원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으로의 반전 조짐
□ 2008년 11월 경제지표는 현재 중국 거시경제가 직면한 심각한 상황을 대변
- CPI와 PPI, 공업생산 증가율 등 경제지표가 예상치를 벗어나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중국경제가 빠르게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음
ㆍCPI와 PPI 증가율은 10월의 4%와 6.6%에서 11월 2.4%와 2%로 크게 하락
ㆍ11월 연간 매출액이 500만 위안 이상인 기업의 전년 동기 대비 부가가치
증가율은 5.4%로 1994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월 대비 2.8%p 하락
- 11월 중국의 수출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2% 하락한 1,149.9억 달러로
2001년 6월 이래 최초로 하락
- 통화량은 완만한 감소세를 보인 반면, 유동성은 현저하게 둔화
ㆍ11월 통화량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둔화되면서 통화량(M2)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45.86조 위안을 유지하며 2005년 5월
이래 최저 증가율을 기록
ㆍ11월 외자 실질이용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5% 하락한 53.2억 달러로
2008년 들어 3개월 연속 하락했으며 하락폭이 점차 확대
- 2 -
중국 CPI, PPI 및 M2의 변화 추이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Nov-00 Nov-01 Nov-02 Nov-03 Nov-04 Nov-05 Nov-06 Nov-07 Nov-08
CPI-PPI
CPI
PPI
M2
자료: 中國 國家統計局
□ 거시경제지표 추이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음
- 중국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둔화되었으나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에서 아직 디플레이션 단계에
진입한 것은 아님
ㆍ디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통화량 축소에 따른 구매력 저하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과정에서 발생
- 중국의 경제현황을 볼 때 최근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ㆍ11월 CPI의 전월 대비 하락폭이 0.8%p로 4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과거
디플레이션 시기 수준에 육박
ㆍ非식품류 상품 가격도 큰 폭으로 동반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 압력이
식품 분야로 파급되고 있음
수급 현황이 디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조성
□ 제조업 생산능력이 확대되면서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
(단위: %)
- 3 -
- 중국 정부는 농업 부문 생산 지원과 공급 확대를 통해 식품 가격 상승에서
비롯된 물가 인상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식량증산으로 CPI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가능성
-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중국 제조업 생산능력이 확대됨에 따라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
ㆍ철강산업의 경우 2008년 말 기준 중국의 철강 생산능력은 7억 톤으로
실제 필요량인 3.5억 톤을 크게 웃도는 상황1)
- 2008년 9월 이후 국제 벌크스톡(Bulk Stock)2) 가격 하락 조짐으로
원자재 수입 대국인 중국의 수입형 디플레이션 압력이 가중
□ 총 수요 둔화세가 지속되면서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
- 글로벌 금융위기로 중국의 주요 수출 대상국인 유럽과 미국 지역의
소비 침체가 수출 둔화로 이어짐
- 소비 기대심리가 위축되면서 저축을 하거나 돈을 쥐고 관망하는 국민들이
늘고 있고, 기업의 공산품 수요 감소로 다수의 기업이 감산을 단행하는 등
중국경기가 장기 침체에 빠짐
□ 금융시장의 유동성 긴축 조짐이 확산
- 2007년 하반기부터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정책적으로 신용대출을
억제함으로써 통